
공통질량중심
- 지구과학 그림자료/우주
- · 2022. 1. 20.

별의 탄생
- 지구과학 그림자료/우주
- · 2022. 1. 18.

HR도
- 지구과학 그림자료/우주
- · 2022. 1. 18.

별의 크기
- 지구과학 그림자료/우주
- · 2022. 1. 18.

별의 색깔
- 지구과학 그림자료/우주
- · 2022. 1. 15.

분광관측
- 지구과학 그림자료/우주
- · 2022. 1. 13.
스펙트럼이란 빛을 파장에 따라 분해하여 나열한 것. 1752년 스코틀랜드 토머스 멤빌은 물질마다 고유한 불꽃색을 가진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빨~보의 연속적인 스펙트럼이 아닌, 밝은 선만 보였다. 이를 선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1814년 독일의 프라운호퍼는 군용 관찰 렌즈의 도수를 조정하다 프리즘으로 태양을 관측하였고, 연속적인 스펙트럼 중간중간에 무수히 많은 어두운 선들이 나타남을 관찰했다. 1850년대에 이르러 로베르트 분젠과 구스타프 키르히호프에 의해 분광법이 체계화되었다. 분젠버너, 프리즘, 상자, 망원경 등으로 구성된 분광기를 통해 기체가 연소할 때의 스펙트럼을 손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키르히호프는 분광기를 통해 원소별 선 스펙트럼의 위치와 모양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