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구조론

728x90


1. 수렴형 경계
1) 충돌형


대륙판과 대륙판이 만나는 경우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대륙판이 약간 내려가게 됩니다.
그리고 다른 대륙판은 위로 살짝 올라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습곡 산맥'이라고 합니다.



2) 섭입형


대륙판과 해양판 또는 해양판과 해양판이 만나는 경우
밀도가 큰 해양판이 아래로 섭입하게 됩니다.
결국 지하 깊숙히 내려갈수록
온도가 높아지기에 딱딱한 판은 소멸의 과정을 거치겠죠?


수렴형 경계에서는 판의 '소멸'이 일어난다 라는거 기억해주세요!


2. 발산형 경계


대륙판과 대륙판(왼쪽 사진) , 해양판과 해양판(오른쪽 사진)
두 가지 경우가 지구상에 존재합니다.
칼로 손을 베였을때를 상상해 봅시다. (끔찍...)
벌어진 틈 사이로 피가 올라옵니다.

판도 마찬가지로 멀어지는 경우 아래에서
뜨거운 마그마가 올라오게 됩니다.
이때 벌어지면서 생기는 V자 모양의 지형을 우리는 '열곡'이라고 부릅니다.
특히 해양판과 해양판의 경우 열곡 주위의 산 모양의 지형이 보이는데
이것을 '해령'이라고 부릅니다.

발산형 경계에서는 뜨거운 마그마가 올라오고
이러한 마그마가 굳으면 새로운 지각이 만들어집니다.
수렴형 경계와는 반대로 판의 '생성'이 일어난다 라는것!

3. 보존형 경계


수렴형 경계는 판의 '소멸'
발산형 경계는 판의 '생성'

보존형 경계는 판의 '소멸', '생성' 모두 해당되지 않습니다.
말 그대로 '보존'된다는 것!

판 구조론 정립 과정을 배우면서
해령과 해령 사이에서 변환단층의 존재를 확인하였습니다.
이것은 바다에서의 보존형 경계였고,
대륙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산안드레아스 단층)










위의 그림은 모든 경계가 나와있는 그림입니다.
수렴형 경계, 발산형 경계, 보존형 경계를 찾아보도록 하세요.

728x90

'지구과학 그림자료 > 지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자기  (0) 2022.02.08
지구 자기장  (0) 2022.02.08
해저 확장설  (0) 2022.02.08
맨틀대류설  (0) 2022.02.01
대륙이동설  (0) 202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