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문해력이 급속도로 떨어지고 있다는 통계결과를
여기저기서 듣고있다.

국어영역만 해당하는 문제는 아닌것 같다.
고등학교 물화생지의 경우
교과서의 기술 형태나 각종문제에 등장하는
글들을 이해못하는 아이들이 생각보다 많다.
자신의 생각을 직접 글로 써보고 표현해 보는 역량을
과학교과에서도 키워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과학적의사소통능력?!)
[준비단계]
1.자료수집
먼저 관련 도서가 있는지 찾아보았고
여러가지 도서 중 '파워풀한 교과서 과학 토론'
이 도서가 가장 괜찮다고 생각한다.
구성과 예시가 수업시간에 학습한 내용과
절반정도는 동일하여 수업과 연계해서 활동을 진행해도 좋을 듯 싶다.

<책 목차>
제1부 이론편
01. 4차 산업 혁명시대 과학 토론이 왜 중요할까?
02. 과학, 찬반대립 토론이 왜 필요할까?
제2부 실천편
01. 원자력발전 /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바람직하다.
02. 재생에너지 / 화석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
03. 지구온난화 / 탄소배출권거래제는 온난화를 막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이다.
04. 미세먼지 / 미세먼지 휴교 기준, 강화해야 한다.
05. 빛공해 /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은 전국적으로 확대ㆍ시행해야 한다.
06. 해양오염 / 해양오염을 막기 위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
07. GMO(유전자 변형 생물체) / GMO식품 완전표시제를 전면 실시해야 한다.
08. 맞춤아기 / 맞춤아기를 갖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다.
09. 인공지능 / 로봇세, 부과해야 한다.
10. 과학자 윤리 / 과학자는 과학기술의 발전을 우선시해야 한다.
11. 지진 / 지진 발생에 대비한 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12. 바이러스 /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바이러스는 극복 가능하다.
2. 활동지 만들기
휴대폰으로 쓰면 안될까요?
컴퓨터로 작성하면 안될까요? 등 각종 민원이 쇄도했지만
나의 생각을 글로 쓰고 표현하는것의 중요성을 어필(잔소리) 했다.

[실행 단계]
사전에 주제를 선정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토론개요서, 글쓰기 개요서 등으로
다양하게 진행하였다.



마음 한 구석에서는 통합과학 수행평가로
단원별 각종 글쓰기를 시행하고 싶었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협의가 부족하였고
글쓰기로 수행평가를 하려면 평가기준이 생각보다 디테일 해야 한다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올해는 고3 융합과학시간에만 적용해 보았다.
역시 배운게 상대적으로 많다보니
생각보다 결과물의 퀄리티가 좋다.
조금씩 보완 수정해서 더 좋은 활동이 될 수 있도록 연구해 보아야겠다!
'수업이야기 > 과학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광현미경 박편 관찰 (0) | 2022.07.31 |
---|---|
[과학탐구실험] 분진실험 (0) | 2022.06.02 |
[지구과학 실험] 지진 액상화 실험 (0) | 2022.04.27 |
발포비타민 로켓 학습지 (0) | 2022.04.27 |
달 관측 보고서 (0) | 2022.04.12 |